![]() |
▲ 6일 리콜조치된 미니쿠퍼 5도어 차량 모습. <사진제공=국토교통부> |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르노삼성과 BMW, 시트로엥 3만대 가량이 리콜조치됐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개 업체에서 제작하거나 수입해 판매한 승용차 총 27개 차종 2만9926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리콜한다고 밝혔다.
먼저 르노삼성자동차(주)에서 제작해 판매한 SM3(가솔린 사양. 2014년 5월 8일~2017년 5월 11일 생산) 차종 2만7743대는 엔진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장착된 소프트웨어의 연료혼합비율 설정이 잘못돼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해당 차량은 10일부터 르노삼성자동차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받을 수 있다.
비엠더블유코리아(주)에서 수입해 판매한 BMW X1 xDrive18D 등 16개 차종 1402대 차량은 4가지 리콜을 실시한다.
먼저 미니쿠퍼 D 5Door 등 10개 차종 720대에서는 운전석 안전띠 비상잠금 리트랙터 내부의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안전띠가 잠기지 않거나 잠금시점이 늦어져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는 자동차안전기준 제103조 제1항 위반으로 국부는 과징금을 부과할 예정이다.
BMW X1 xDrive18d 등 2개 차종 556대는 조수석 에어백 커버에 절개선이 없이 제작돼 사고 시 에어백 커버가 벗겨지지 않아 에어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BMW M760Li xDrive 차종 90대는 엔진오일 냉각기에 연결돼 있는 호스가 정확하게 체결돼 있지 않아 엔진오일이 누유돼 엔진오일 냉각기 밑에 위치한 브레이크로 흐를 경우 제동력이 저하될 수 있다.
BMW 740Li xDrive 등 3개 차종 36개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았을 때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것으로 차량이 인식해 제동등이 오작동 할 경우 후방추돌 사고 등이 발생할 가능성 있다.
해당 차량들은 6일부터 비엠더블유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받을 수 있다.
또 한불모터스에서 수입해 판매한 시트로엥 DS3 1.6 e-HDi 등 10개 차종 781대는 사고시 에어백(다카타 사) 인플레이터의 과도한 폭발압력으로 발생한 내부 부품의 금속 파편이 운전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확인됐다.
7일부터 한불모터스 서비스센터에서 무상 수리가능하다.
이번 리콜과 관련하여 해당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으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되며 리콜 시행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르노삼성자동차, 비엠더블유코리아, 한불모터스로 문의하면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