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5시 확진자 수 모두 602명…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 |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범정부대책회의에 참석해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과 화상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최경서 기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가 시간이 무섭게 확산되는 현재 상황이 결국 심각한 위기 상태인 것으로 인정됐다.
정부가 국내 코로나19에 대해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을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한 것이다.
이는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일로부터 35일째 되는 날로서, 지역사회 확산에 따라 심각 수준이 발령된 것은 지난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 이후 10년 만이다.
중국 등 국외에서 유입된 코로나19의 현재 상황이 국내 지역 전파 또는 전국적인 확산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질병관리본부 중심의 방역 체계와 중앙사고수습본부 체제를 유지하면서 국무총리 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번격 가동하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오후 코로나19 범정부대책회의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중대한 분수령을 맞았다"며 "이에 정부는 감염병 전문가들의 권고에 따라 위기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올려 대응 체계를 대폭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달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되자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되고 27일 4번째 확진 환자 발생 이후 경계로 올라간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은 첫 확진자가 나온 날로부터 35일째 되는 날 심각단계까지 올라가게 됐다.
감염병 위기경보 '심각' 단계에 따라 운영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휴교나 항공기 운항 감편·대중교통 운행 제한 등 조치를 검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임이나 행사 등 외부 활동 자제를 권고하고 대규모 행사를 금지하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심각 단계에 맞춰 기존의 질병관리본부 중심의 방역 체계와 중수본 체제는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해 강화하겠다”며 “범부처 대응과 중앙정부-지자체의 지원 체계를 한층 강화해 총력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심각 단계의 방역체계를 기존처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경계' 수준이 격상되면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설치됐던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운영을 강화하고 국가의 모든 가용 자원을 파악한 후 동원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도 한층 강화된다.
한편, 감염병 위기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로 나뉜다. 해외 신종감염병 발생 및 유행(관심), 신종 감염병의 국내 유입(주의), 국내 유입 후 제한적 전파(경계), 지역사회 전파 또는 전국적 확산(심각) 등 위기 유형에 따라 위기경보 수준이 달라진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