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수원시청 전경. (사진=수원시 제공) |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의 취지가 지역균형발전인 점을 고려해 ‘도봉산 포천선(옥정~포천) 사업’ 이외의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사업은 원칙적으로 제외했다.
경기도는 이날 오전 “포천시와 긴밀히 협력해 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함은 물론 정부의 국가균형발전사업 이행에도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함께 건의한 ‘신분당선 광교~호매실 연장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에서 제외된 점에는 아쉬움을 표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 사업은 이미 2003년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을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광역교통개선부담금 5000억원이 확보돼 있어 최소한의 재정 투입으로도 추진이 가능한 상황”이라며 “10년 넘게 사업이 지연되면서 극심한 교통난에 시달리고 있는 경기 서남부 주민들의 아픔을 외면해서는 안 될 것으로 주민들의 숙원이 반드시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수원시도 정부의 이번 발표에 대해 “수원시민들에게 좌절감을 넘어 엄청난 분노를 안겨주었다”며 “신분당선 광교~호매실 연장사업은 서울, 수원을 거쳐 화성까지 연결되는 수도권 남부지역의 대표적인 간선 철도망으로 국가 장기 플랜이며, 2006년 호매실택지개발 시 정부가 해당사업 추진을 약속한만큼, 국가정책에 대한 신뢰도 제고를 위해 신분당선 연장사업은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분당선 연장사업에 대한 확고한 실행이 담보되지 않는 원론적인 계획 발표로는 수원시민들의 실망감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으로 신분당선 연장구간에 대한 구체적 실행 로드맵을 제시해 줄 것”을 촉구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시민사회와 지역정치권과의 강력한 연대와 협력을 통해 신분당선 연장사업이 반드시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신분당선연장사업 TF를 구성, 정부의 약속이 이행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기반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