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인섭 한전산업개발 간접인력노동조합 위원장이 지난달 10일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정부정책과 관련해 사각지대인 간접인력에 대한 관심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모습. |
[세계로컬신문 이평래 기자] 김인섭 한전산업개발 간접인력노동조합 위원장은 5일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정책으로 인해 도산 위기에 처한 1700여개 이상의 파견 용역업체와 간접인력 430명 생존권에 정부와 전력그룹사의 관심을 촉구했다.
김 위원장 지난달 10일 이같은 내용의 기자회견을 갖고 간접인력에 대한 생존권 보장을 호소한 바 있다.
그는 "정부의 인간중심의 일자리 만들기 정책은 환영하지만 한전산업과 같은 파견 용역업체 소속 현장 인력은 한전, 발전사 등으로 소속이 전화되지만 본사에 있는 간접인력은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현장인력처럼 간접인력도 함께 전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기획재정부 예규에도 노무비에 대해 직접, 간접노무비가 언급돼 있기에 간접인력도 정규직 전환에 포함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공공부문 근로자 정규직 가이드라인이 적용된다면 약 1700여개 이상의 파견 용역업체가 도산할 것이며 이로 인해 업체별 간접인력이 최소 10명만 근무한다 해도 1만7000여명의 간접인력이 실직위기에 처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더욱 안타까운 점은 이번 정책은 현장에서 근무하는 직접인력만의 정규직 전환을 언급할 뿐 이들을 지원하는 간접인력에 대한 내용은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인간중심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대의의 그늘에 가려져 파견 용역업체의 도산과 실직이라는 생존의 위기에 놓인 간접인력들의 생존권을 사수하고 근로자와 그 가족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정부의 합리적인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국가 기간산업의 한 분야인 전력에너지 분야를 담당함으로써 국가발전에 기여해 온 한전산업개발 3800여명의 전 직원은 단 한명의 소외된 인원없이 한국전력공사와 발전 5개사의 전원 정규직화를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