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유영균 대전도시공사 사장(왼쪽)와 백명흠 사업이사가 대전시청 기자실을 방문해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하주실업과 관련된 의혹 등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
[세계로컬신문 오영균 기자] 대전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회사를 놓고 지역사회 비판이 일고 있는 가운데 대전도시공사가 사태 해결을 난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논란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대전도시공사가 대전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추진에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된 하주실업이 도덕성 의혹에도 불구하고 법적문제가 없으니 예정대로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지역에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된 하주실업 대표가 2014년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추진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인정해 달라며 대전도시공사와 3년여간이나 지리한 소송전을 벌인 탓에 대전시와 도시공사를 4년여 동안 농락한 책임이 있는 지산디앤씨회사의 대표이사 가족으로 드러났는데도 계약해지 등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망신살하고 있다.
유영균 대전도시공사 사장은 18일 오후 대전시청 기자실을 방문해 기자간담회를 갖고 일련의 보도 등 시민단체의 진상규명과 관련해 “지역사회가 법적문제이외에 정서적이고 도덕적인 측면에서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면서 “이번 공모에 참여해서는 안되는 (하주실업)기업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는 지적에 시민여러분께 걱정을 끼쳐드려 사업시행자로서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 사장은 “지역사회 거부감에도 불구하고 롯데와 관련 있는 기업이 선정된 것은 이들을 제한할 아무런 근거도 없기 때문”이라며 “14명의 평가위원들은 어떠한 전제조건 없이 학자적 양심과 전문성으로 평가에 임했다”고 전했다.
특히 하주실업 선정 의혹에는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참여를 위해 지난해 10월 자본금 8억 원으로 부동산개발업을 주 사업으로 설립한 법인에 사업시행 실적이 전혀 없다는 점이다.
또 사업성 악화를 이유로 포기한 롯데가 하주실업 배후에 있다는 의혹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추진을 지리한 법원송사로 무산시킨 지산디앤씨 업체가 가족이 대표로 있는 하주실업이 참여의향서를 통해 계약예정 업체로 참여, 제시한 사업비는 총 2760억 원이며 이 중 2400억 원을 교보증권을 통해 조달해 수익을 독차지 하는 것 아니냐는 눈총이다.
대전 도시공사는 지난해 롯데와 사업협약 해지 이후 대전시와 도시공사가 구성한 TF는 3차공모 당시 사업제안서 제출업체들에 대한 자격제한 문제를 검토한 바 있었으나 결론은 현행법상 이들이 다시 사업자공모에 응해도 제한할 수단이 없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번에도 지난 4년전 2014년도처럼 사업이 어긋날 경우 또다시 송사에 휘말릴 가능성이 크다. 대전시 관련 공무원들을 비롯해 도시공사 임직원 책임론이 걷잡을 수 없이 불거지면서 하명감사를 통해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에 철저한 조사와 대책을 내놔야하는 지적이 있다..
한편 유영균 사장은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추진에 사업무산 등 부정과 비리가 개입된 흔적이 나타나면 상응한 책임을 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