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우대용 교통카드 |
[세계로컬신문 온라인뉴스팀] 65세 이상 어르신이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 사용 금액이 지난 한 해 서울에서만 8억 7천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어르신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 사용 건수가 2012년 6천160건에서 지난해 2만30건으로 5년 새 3.3배로 증가했다.
서울시가 100세 이상 어르신의 우대용 교통카드 사용내역을 서울교통공사와 CCTV를 통해 확인한 결과 100세 이상 어르신의 우대용 교통카드 사용자 10명 중 9명이 본인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는 이 같은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사용으로 2017년 한해 손실액이 8억7000만원에 달한다면서 단속강화와 이용자 인식 개선은 물론 부정승차 방지를 위한 시스템 개선에 나선다고 밝혔다.
먼저 시는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승차건의 다수가 본인이 지인에게 빌려주어 사용하게 한 것으로 보고 경각심 제고 차원에서 카드 발급 대상자 전원에게 안내문을 발송해 이용 유의 사항을 고지할 예정이다. 또한 9월부터는 부정승차 특별단속반을 꾸려 전 역사를 대상으로 불시단속에 나설 계획이다.
우대용 교통카드를 타인에게 대여·양도할 경우 본인은 1년간 사용 및 재발급이 불가하고 부정승차자에게는 승차구간의 여객운임과 운임의 30배를 추징할 수 있다.
고홍석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부정사용으로 인한 손실이 지하철 안전과 서비스 개선을 위한 투자까지 영향을 미치면 지하철을 이용하는 800만 이용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중대한 문제”라며 “지하철 무임승차제도는 손꼽히는 교통복지 정책 중 하나인데 이를 악용한 행위로 인해 제도의 취지가 훼손되는 일이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