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회의에서는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 및 화물 반·출입 시간 현황을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검토했다. 또한, 인천항 주요 이용자인 화물차 기사들의 ‘터미널 운영사 간 공(空) 컨테이너 블록 상·하차 방식이 상이함에 따라 혼선이 야기된다’는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터미널 장비기사-화물차 기사 간 신호 통일 및 화물차 기사 대상 홍보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터미널 진입 게이트에서 이루어지는 공(空) 컨테이너 검사로 인한 인근 도로 교통 혼잡 해소를 위하여 검사 방식 효율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 각 터미널 운영사들이 현장에서 겪는 운영상의 이슈와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공동의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IPA와 인천항 4개 ‘컨’ 터미널 운영사는 지난 ’23년 하반기부터 협의회를 분기별로 정례화하고, 인천항 ‘컨’ 물류 환경 개선을 위해 공조를 지속해왔다. 그 결과, 지난 1~5월 인천항 평균 화물 반·출입 시간은 16.7분으로 지난해보다 1.8분 단축되어 더 빠른 인천항을 조성해 왔다는 것이 IPA의 설명이다.
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사장은 "IPA는 인천항 ‘컨’ 터미널 운영사 협의회를 통해 운영사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물류 개선 방안을 도출해왔다”며, "앞으로도 인천항의 물류 경쟁력을 높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