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5일 오전 시정 업무보고를 받고 있는 김제시의회. |
[세계로컬신문 조주연 기자] 25일 오전 전북 김제시의회는 시 기획감사실로부터 2018년 하반기 업무보고를 받았다. 업무보고라 할지라도 통상적으로 이 자리에서는 해당 부처와 관련된 각종 지역현안에 대한 시의원들의 질의가 이어진다.
앞선 지난 18일 감사원은 지난해 지역 행사 축제장에서 한 간부공무원(현 C 국장)이 부하 여직원에게 한 행동을 성희롱으로 판단하고 '당시 적절한 징계를 내렸다면 현재 국장으로 승진할 수 없을 것'이라며 '현 C 국장을 징계(강등)시켜라'고 김제시에 요구했다.
행정기관과 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감찰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통령 직속의 국가 최고 감사기관 감사원이 당시 김제시 조치를 '부적절했다'고 판단했고 '김제시의 위상을 크게 떨어뜨렸다'는 내용을 공개문에 적시한 상황이였다. 김제시의 대외적 이미지가 크게 실추된 것.
상황이 이렇다 보니 25일 기획감사실 업무보고에서 시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질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또 그 만큼 관심도 쏠렸다.
가장 먼저 발언권을 얻은 건 김영자(민주평화당) 시의원이었다. 김 의원은 "오늘 신문에 해당 사건과 관련한 전북여성단체연합의 '관련 국장을 즉각 징계하라'는 기사가 나왔다"며 감사원 통보에 대해 입을 열었다.
이에 대해 기획감사실은 "변상판정 2건과 성희롱 관련 사건은 상당히 비중이 크고 중요한 것으로 이것은 절차대로 진행하려 한다"며 "현재 재심의를 검토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하지만 감사원 통보에 대한 김제시의원들의 질문은 그것이 전부였다. 더 이상 누구도 해당 문제에 대해 묻지도 따지지도 않았다.
감사원 보고서 공개 당시 지역언론은 물론이고 전국매체에까지 관련 보도가 쏟아진 바 있다. 도 여성단체가 관련자 징계를 촉구하는 행동까지 나서고 전북지역 대표 매체인 전북일보는 사설로 김제시를 질타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해 언급한 시의원은 단 한명 뿐이었다.
사실 해당 사건 발생 직후 시정 견제가 주 임무인 김제시의회가 적극적인 자세로 시의 공정한 조사와 징계를 촉구해 납득할수 있는 징계가 내려졌다면 감사원의 감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김제시의회의 침묵은 이번 만이 아니다. 업무상 배임으로 불명예스럽게 중도하차 한 전임 김제시장의 잘못된 시정을 잡아내지 못했다. 또 당시 전임시장의 재판이 이뤄진 2여년 동안 민의의 전당 시의회에서 쓴소리를 낸 이를 찾아 보기 힘들었다.
번번히 침묵하는 이런 김제시의회가 과연 문재인 대통령이 헌법전문에 담겠다는 자치분권의 제 역할을 얼마나 제대로 실행할지 걱정스럽기만 하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