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 문제해결 노력이 없다면 강도 높은 투쟁 이어갈 계획”
![]() |
| ▲1일 오전 전북 14개 지자체 공무원 노조위원장이 “전북도청의 일방적인 낙하산 인사를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진안군 |
[세계로컬타임즈 조주연 기자] 전북 14개 지자체 공무원 노조(이하 공무원 노조)가 “전북도청의 일방적인 낙하산 인사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공무원 노조는 1일 오전 진안군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부단체장 낙하산인사 저지 투쟁을 벌이고 있으나 전북도 인사부서는 전혀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진안군 공무원노조에 따르면 진안군 산림과장 자리는 지방자치 이후 늘 전북도청 사무관이 차지했다.
이재선 진안군청 공무원 노조위원장은 “진안군의 녹지직은 총 17명 (▲5급 1명, ▲6급 2명, ▲7급 6명, ▲8급 6명, ▲9급 2명)인데 전북도에서 5급 과장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바람에 부서장으로의 승진은 꿈도 꾸지 못하고 있다”며 “열심히 일한 대가인 승진의 영광이 없다면 어느 공무원이 소신껏 업무에 매진 할 것이냐”고 물었다.
이재선 위원장은 “진안군은 전북도의 사무소인 듯 도청 인사교류로 내려오는 사무관이 7~8명 이던 시절도 있었다”며 “2020년은 3명, 이 중 현재는 2명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안군청 공무원 노조가 전북도청의 일방적이고도 불합리한 인사교류를 해소하고자 2020년 11월 전북도청 총무과 면담, 같은해 12월 전직원 500명의 인사교류 반대 서명서를 도지사 비서실에 전달하고 비서실장 면담을 추진해 왔으나 2020년 12월 면담 이후 전화 한통도 전북도로 부터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전북도는 95%이상이 5급이상의 직위로 퇴직하지만 전북 14개 시·군은 90% 이상이 6급 이하 하위직으로 퇴직하고 있으며 정원 대비 5급 사무관 이상 비율도 전북도는 20%가 넘지만 14개 시군은 평균 5%도 안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직제와 규모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이러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행태가 과연 정부가 공언하고 있는 ‘정의 와 공정’ 의 가치에 부합하는지 묻고 싶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이같은 인사행태의 문제점을 기초단체장이 인식해 개선하려 해도 전북도의 부단체장과 사무관 낙하산 인사에 거부할 경우 예산과 감사란 막강한 권한을 가진 도지사의 눈밖에 나기 때문에 이 불합리한 일방적 인사교류를 거부하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꼬집었다.
공무원 노조는 “현재 진안군청에 남아있는 사무관 2명의 복귀와 일방적인 인사교류를 즉각 중단하고 노조와 도지사 간 대화의 자리를 마련할 것”을 요구하며 “전북도의 문제해결의 노력이 없다면 강도 높은 투쟁을 이어갈 계획임”을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