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의학 전문의 임상데이터 기반 검사도구 우울감‧불안증 등 마음건강 진단
 |
▲건강마음 앱 화면 (사진=서울시)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청년들이 스마트폰 앱으로 우울감‧불안증 등을 자가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게임, 미술, 신체활동 같은 맞춤형 콘텐츠로 마음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마음건강 앱 서비스’를 9월부터 시범도입한다.
‘마음건강 앱’은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의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한 검사도구와 콘텐츠를 통해 마음건강 상태를 진단‧회복할 수 있는 디지털 앱이다.
남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병원이나 상담센터에 방문하지 않고도 마음건강 관리를 할 수 있어 특히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우선 청년 500명을 대상으로 ‘마음건강 앱 서비스’를 시범도입한다.
‘마음건강 앱’에서는 3가지 유형의 검사도구를 통해 순차적으로 마음건강을 진단해볼 수 있다.
▴이모티콘과 소리를 넣어 쉽고 간편하게 검진하는 ‘디지털 우울척도 검사’ ▴정신건강의학 전문의가 만든 검증된 ‘챗봇’(진단설문지) ▴인지조절능력, 자유연상력, 사회적 반응성 등 심리적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인지·정서 스크리닝 게임’이다.
진단을 마치면 가벼움(경미한 우울), 보통(중증도 우울), 심각(고도 우울) 등으로 마음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진단결과에 따라 3가지의 맞춤형 치료 콘텐츠가 추천된다.
사용자의 우울감 검사결과와 활동 수행 데이터가 쌓일수록 맞춤형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이 고도화된다.
‘가벼움(경미한 우울)’으로 진단된 청년들에게는 디지털 만다라, 신체활동게임과 함께 우울감이 개인의 인지적 조절능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게임 형태의 ‘인지·정서 스크리닝’ 콘텐츠를 함께 제공한다.
‘보통(중증도 우울)’ 상태의 청년들에게는 우울감 개선에 도움을 주는 근력과 심폐능력 향상을 위한 ‘근심타파 신체활동게임’을 추천한다.
‘심각(고도 우울)’ 상태의 청년들에게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디지털 만다라’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디지털 만다라’는 원 안에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색칠하면서 마음을 편안하게 가라앉히는 미술치료기법인 만다라를 디지털화한 프로그램이다.
서울시는 ‘마음건강 앱’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참여 청년들이 지속적으로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청년 마음건강 관리’ 지원 사업 전담 상담사를 통해 지원한다. 참여 청년의 앱 사용 데이터를 상담 보조자료로 활용해 효과적인 상담이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