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동욱 서울시의원(왼쪽 세번째)이 24일 '정신건강복지법 시대 정신장애인 복지전달체계와 서울시의 역할' 토론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의회> |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서울시의회 김동욱(더불어민주당, 도봉4) 의원은 지난 24일 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열린 '정신건강복지법 시대 정신장애인 복지전달체계와 서울시의 역활' 토론회에 토론자로 참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정신건강복지법 시대 복지전달체계의 개선방향 및 실천전략 등에 대해 다루는 자리로 김 의원과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가 공동주최했다.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의 염형국 변호사와 박재우 서초열린세상 소장의 발제와 서울사회복지공익법센터의 김도희 변호사, 이상호 사람사랑양천장애인자립생활 소장 및 당사자와 당사자 가족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김 의원은 정신장애인에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참여자들이 참여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히며 예산과 인력의 한계를 극복할 방안 필요성과 정신장애인 시설과 관련한 재단, 협회, 서비스 제공자, 당사자를 아우를 수 있는 대표성 있는 서비스 요구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인강원 사건에서 현실적 제약이 많았지만 소기의 성과를 올릴 수 있었는데 이때 리더십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며 "소신있게 일을 해 나가는 사람이 있다면 정신장애인 복지서비스 관련해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당사자와 관련단체, 집행부가 문제해결에 있어 의지를 가지고 임할 것을 당부했다.
또 "정신장애인의 복지서비스 관련해 아이디어 수준보다는 구체적인 액션플랜이 필요하다"며 "정신장애인 복지서비스 및 탈원화 지정정책들을 단계적으로 검토하고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