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업 4곳 중 1곳이 올해 인력 구조조정 계획이 있다고 밝힌 설문조사 결과가 나와 관심이 집중된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연초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기업의 경영 여력이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 바람이 휘몰아칠 전망이다.
구인구직 사이트 ‘사람인’이 최근 기업 910곳을 대상으로 ‘올해 인력 구조조정 계획’을 묻는 설문 조사 집계 결과, 전체의 1/4 이상이 ‘있다’(26.6%)고 밝혔다.
이 같은 기업들의 구조조정 방침의 이유로 ‘어려워진 회사 사정’(53.3%, 복수응답)이 최다를 기록한 가운데,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인건비 상승’(45.5%), ‘올해 불경기 전망’(40.5%), ‘기업 경쟁력 개선’(21.9%), ‘조직 긴장감 부여’(8.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인력 감축 대상으로 가장 먼저 ‘근무태도가 불성실한 직원’(52.3%)을 꼽았다. 이어 ‘실적부진 직원’(18.2%), ‘고연봉 수령 직원’(7%), ‘실적부진 부서 소속 직원’(7%), ‘인사고과 저평가 직원’(5.7%), ‘비정규직 직원’(3.2%) 등도 포함됐다.
구조조정 방식으로 ‘권고사직’(54.1%)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정리해고’(18.6%), ‘희망퇴직‧명예퇴직’(18.2%) 순으로 나타났다.
구조조정에 대한 예상 시기는 ‘올해 1분기’가 67.4%로 최다를, ‘2분기’(22.3%), ‘3분기’(5.8%), ‘4분기’(4.5%) 순으로 각각 집계됐다.
다만 ‘인력’ 구조조정 계획이 없다고 답한 기업 668곳의 경우 높아진 인건비 절감을 위해 ‘신규 채용 중단’(57.1%, 복수응답), ‘임금 동결’(41%), ‘임금피크제 도입’(9%) 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