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이사수요 급증
정부 보완책 발표에 촉각
 |
▲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난달에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3일 서울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에서 상담이 이뤄지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및 정부의 가계대출 관련 고강도 규제에도 지난달 되레 ‘역대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철을 맞아 이사수요가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 9월 가계대출, 전월比 6.5조 급증
14일 한국은행이 전날 발표한 ‘9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52조7,405억 원으로, 전월 대비 6조5,000억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인 8월 증가액(6조1,000억 원)보다 더 늘어난 셈이다.
이런 9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앞서 부동산값 폭등에 ‘패닉 바잉’이 휘몰아쳤던 작년 9월(9조6,000억 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다.
주택담보대출에서도 5조7,000억 원 증가하면서 전월(5조8,000억 원) 수준의 증가세를 유지했다. 이 역시 9월 증가액 기준으로 역대 세 번째 규모다. 전세자금대출도 2조5,000억 원 증가했다. 주택매매 및 전세거래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신용대출·마이너스통장 등 기타 대출은 8,000억 원으로 다소 늘어났다.
금융당국은 이미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한 ‘대출 옥죄기’에 나선 상태다. 앞서 당국은 지난 7월부터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를 본격화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은 자체적으로 대출한도 감축 및 금리인상 등으로 당국 지침을 따르고 있다.
한은도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연 0.75%로 0.25%p 인상하면서 시장에 ‘대출 억제’ 시그널을 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9월 대출 폭증이란 결과를 받아들면서 아직까지는 ‘백약이 무효’인 상황이다.
박성진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이달 가계부채 보완책이 나올 텐데 정부와 은행의 가계대출 관리 조치의 강도에 따라 추이는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며 “가계대출 수요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 증가세가 진정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늦어도 이달 말까지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가계부채 관련 보완대책의 내용에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선 지금보다 더 높은 강도의 대책이 나올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제2금융권의 DSR을 현행 60%에서 40%로 강화하거나 카드론 DSR 규제, 전세대출에 DSR을 적용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는 ‘상환능력만큼만 빌려준다’는 현 정부 인식이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실수요자도 상환능력에 따라 대출받아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