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제유가 하락과 농산물 가격 안정 등으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8%로 1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그래픽=통계청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조정현 기자] 국제유가 하락과 유류세 인하 등의 영향으로 외식비의 고공행진에도 불구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24(2015년=100)로 1년 전보다 0.8% 올랐다. 소비자물가지수가 1% 아래로 내려간 건 1년 만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1월 0.8% 상승 이후 2월부터 12월까지는 매달 1%를 넘어섰고, 9월부터 11월까지는 2%대까지 오른 바 있다. 아울러 전월 대비 물가지수는 4개월 연속 하락했다.
국제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석유류가 9.7% 떨어지며 물가 하락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 이 같은 하락 폭은 2016년 6월의 9.7% 이후 가장 큰 것으로 휘발유(-12.7%),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9.4%), 경유(-7.0%) 등의 가격이 모두 내렸다.
석유류 가격의 하락은 공업제품 전체의 가격 인하를 불러왔다. 1월 공업제품은 0.7%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2%포인트 끌어내렸다. 이에 2016년 10월 0.4% 상승 이후 상승 흐름을 유지했던 공업제품은 이번에 하락 전환했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2.5% 올랐으나 전달의 5.2% 상승에 비하면 비해 절반 정도로 상승 폭이 줄었다. 농산물 전체로는 5.3% 올랐으나 기상·수급 여건이 양호해 채소류(-2.0%)와 축산물(-1.5%) 가격이 떨어져 상승 폭을 줄였다. 특히 월동 배추 출하로 배추(-17.3%) 값이 크게 떨어졌고 양파(-30.7%), 달걀(-12.4%), 고등어(-7.7%) 등도 하락 폭이 컸다.
구제역 여파는 크지 않았다. 지난달 돼지고기 가격은 6.7%, 소고기 가격은 0.9% 각각 내렸다.
공업제품 중 전기·수도·가스는 1.4% 올랐다. 도시가스가 3.5%로 가장 크게 상승했고, 상수도료(0.7%)와 지역난방비(0.5%) 등도 올랐다.
서비스는 1.4% 상승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3.1%로 지난해 4월부터 10개월째 3%대를 기록했다. 김밥(6.5%)을 비롯해 죽(6.4%), 치킨(5.9%), 떡볶이(5.7%) 등 거의 모든 품목이 올랐다. 개인서비스가 2.5% 오르면서 전체 물가 상승률을 0.79%포인트 끌어올렸다.
반면 집세의 상승 폭이 0.2%로 전달보다 소폭 줄었고, 공공서비스는 입원실 등에서의 건강 보험 적용 확대와 휴대전화 이용료 감소의 영향으로 -0.3% 떨어졌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1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0.4% 올랐다. 석유류 가격 하락분이 반영된 결과로, 2016년 8월(-0.2%) 이후 2년 5개월만에 최저 상승률이다.
생선,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2% 상승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설 성수품도 15개 주요 품목 기준 배추, 돼지고기 등 11개 품목 가격이 하락 또는 보합세로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가격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며 “설 명절 생활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 노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