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진시 심병섭 부시장(가운데)이 지난 10일 관련 부서장과 함께 저출산 대응 관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당진시청> |
[세계로컬신문 홍윤표 조사위원] 충남 당진시가 지난 10일 민과 관이 함께 참여하는 저출산 대응단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심병섭 부시장을 단장으로 관련 15개 부서와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시의 저출산 대응단은 저출산 극복 4대 해결과제를 중심으로 ▲청년 일자리.주거팀 ▲임신.출산팀 ▲보육교육 및 일.가정양립팀 ▲출산장려 사회환경조성팀으로 구성돼 있다.
청년 일자리.주거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시는 저출산을 결혼 이후 출산과 양육의 문제로 치부하지 않고 현재 우리사회가 직면한 청년세대의 구조적 문제로 진단해 시 차원의 해결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또 출산장려 사회환경조성팀에는 한자녀 더갖기운동연합과 교육계 및 종교계 지도자 등 민간단체도 참여시켜 민관 협의 과정을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실행가능성이 높은 지역 맞춤형 저출산 대응 정책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10일 당진시청 소회의실에서 심 부시장 주재로 관련 부서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첫 회의에서는 저출산 현황과 문제점을 공유하고 민관 거버넌스 구축 방안과 부서별 저출산 대응정책 개발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대응단의 본격적인 활동은 2018년부터 이뤄질 예정으로 향후 시는 대응단의 정례회의를 통해 시민 욕구를 반영한 정책개발은 물론 관련 사업에 대한 평가도 진행할 계획이다.
심병섭 부시장은 “영국의 인구학자인 데이빗 콜먼 박사가 대한민국을 2305년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최초의 국가로 지목할 정도로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가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며 “사회·문화·경제를 아우르는 구조적 접근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저출산 문제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16년 당진시의 출생자 수도 2015년 대비 228명 감소한 1717명으로 조사됐으며 한국고용정보원의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방소멸2’에 따르면 합계출산율이 비교적 높은 당진시 조차도 소멸주의 도시로 분류된 만큼 지방 소도시에 대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