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컬신문 라안일 기자] 대전시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대전시민과 약속한 공약의 국정반영을 위해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 ▲권선택 대전시장이 16일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문재인 대통령 대전시 공약 실행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권선택 대전시장은 16일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문재인 대통령 대전시 공약 실행계획’을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육성 ▲국립 어린이재활병원 건립 ▲대전의료원 설립 ▲옛 충남도청 이전부지 조기 활용 ▲대전권 순환교통망 구축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조기 착공 지원 ▲대전교도소 이전 ▲월평동 화상경마장 도시 외곽 이전 ▲중부권 원자력의학원 설립 등 9건을 공약에 포함시켰다.
9개 공약 사항 중 월평동 화상경마장 도시 외곽 이전 건은 시민 건의사항으로, 나머지 8건은 시 제안으로 이뤄졌다.
9개 공약사업을 추진하는 데 드는 비용은 약 3조 3318억원. 이는 박근혜 정부 당시보다 조금 줄어든 금액이다. 다만 시가 추계한 비용으로 중앙정부와의 논의과정에서 변동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큰 틀에서 이뤄진 ‘초안’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지역 국회의원, 전문가 등의 논의도 이어질 예정이다.
시는 ‘초안’이지만 지역공약사항의 구체화·실현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를 미리 발표했다.
권 시장은 화상경마장 문제가 서울 용산 등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간 공동 대응을 펼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그는 “우리뿐만 아니라 와 서울 용산 등에서도 화상경마장 문제가 벌어지고 있다”며 “그동안 지역에서만 논의됐던 문제지만 이제는 국정과제가 됐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해소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같은 문제를 갖고 있는 지자체들과 제휴해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권 시장은 대덕특구, KAIST, 과학벨트 등 과학 인프라를 갖췄고 충남·충북·세종과 연계해 4차산업혁명을 이끌 핵심 거점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특히 충북과 세종에 인접한 대동·금탄에 융복합 R&D 기반을 구축해 충청권이 연계한 스마트 융복합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와 함께 권 시장은 ‘충청 홀대론’이 안 나오도록 지역 국회의원 등과 함께 문재인 정부에 청와대 및 정부 인사에 지역출신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건의하겠다고 강조했다.
권 시장은 “지난 주말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을 만나 여당이 된 입장으로 책임을 갖고 지역현안 해결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건의했으며 박 위원장도 이를 흔쾌히 받아들였다”며 “충청권 홀대론이 안 나오도록 청와대와 정부에 충청권 인사들이 많이 배치되면 좋겠다는 뜻을 전하고 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