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한병원협회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정밀의료' 사업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사진=병협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대한병원협회(병협)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NIPA)은 ‘정밀의료’ 사업 발굴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병협은 “최근 그랜드워커힐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 AI기반 정밀의료 서비스(닥터앤서)의 국내 병원 보급·확산 및 ICT기반 정밀의료 신서비스 발굴 등을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두 기관은 병원·의료산업 관련 신규 사업 지원과 세미나, 콘퍼런스 등 인식 제고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임영진 대한병원협회 회장은 “지난 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 기간 중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최한 심포지엄에 많은 사람들이 참석한 것을 보고 놀랐다”며 “그만큼 병원계가 정보통신과 AI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와 AI를 어떻게 접목해 환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지가 우리의 숙제”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병원의료산업이 미래를 선도하도록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많은 기회 제공을 당부했다.
이에 김창용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은 “내년부터 AI를 기반한 정밀의료 서비스가 시범적으로 운영되는데, 이런 시도들이 세계 헬스케어 시장을 우리가 선도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되길 바란다”며 “병원 진료 데이터 등이 잘 활용되고, 의사들과 ICT의 만남이 새로운 시너지를 내서 헬스케어가 미래성장동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업계에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도해 추진 중인 인공지능 기반 정밀의료 서비스, ‘닥터앤서’에 대해 의미가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닥터앤서’는 한국인의 데이터로, 한국 의료기관의 진료 경험을 녹여 한국 기업들의 기술력으로 만든다. 8대 질환 21개 소프트웨어를 갖춘 토털 보조진단 솔루션으로, 첫 ‘한국형 AI 정밀의료 서비스’를 표방한다.
이미 시장에 나와 있는 ‘왓슨’의 경우 미국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돼 인종과 환경 등이 다른 우리나라에 적용하기엔 무리라는 지적이다.
‘닥터앤서’ 개발에 이른바 ‘빅5’ 병원을 포함, 지역 주요 거점병원 25곳이 참여하고 국내 의료기기·헬스케어 대표 기업 대부분이 포진한 이유다.
병협 측은 “AI가 학습한 데이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오진 가능성을 줄이는 것은 물론 더 안전하고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다”며 “따라서 치료기간 단축과 의료비 절감 등 보다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형 AI ‘닥터앤서’는 8대 질환의 토털진단을 돕는다.
심뇌혈관과 치매, 소아희귀난치성 유전질환 등 3대 분야는 당장 내년부터 의료 현장에서 만날 수 있다. 심장질환,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뇌전증 등 다른 5대 질환도 2020년이면 개발을 마치고 의료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아울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료기기 인‧허가는 물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건보 수가까지 받도록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