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 이익 위해 원칙과 상식 위배·당헌당규 위반으로 불가
복당 시 정당민주주의 훼손…정치권 불신만 깊어져
![]() |
▲ 김경훈 대전시의장. |
[세계로컬신문 라안일 기자] 김경훈 대전시의장(사진)의 복당이 더욱 어렵게 됐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이 김 의장의 복당을 위해서는 지난 대전시의회 후반기 원구성 사태에서 김 의장의 반대편에 섰던 시의원들을 설득하는 과정이 선결돼야 한다고 했지만 해당 의원들은 김 의장의 복당에 난색을 표했다.
일부 의원들이 강력 반대하고 또 다른 의원들도 탐탁치 않은 입장을 보여 박 위원장이 세운 복당 기준이 무의미해졌다.
당원 복당이 중앙당 차원에서 결정되지만 지역에서 이에 대한 건의가 없을 경우 복당 자체가 쉽지 않아 보인다.
박범계 위원장은 지난 27일 기자간담회에서 김 의장의 복당에 대한 질문에 “김경훈 의장을 바라보는 관점은 중립적이다. 제 마음 같아서는 복당절차를 밟고 싶다”며 “(복당을 위해서는)제명의 원인이 됐던 시의회 사태 당시 반대했던 동료 의원들을 설득하고 김 의장이 수장으로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과정이 선결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에 김 의장 반대편에 섰던 김동섭, 권중순, 박상숙, 박정현, 전문학, 정기현, 조원휘 시의원의 입장을 들어봤다.
권중순, 정기현 의원은 후반기 원구성 사태에서 김 의장이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원칙과 상식에 어긋났고 당헌당규를 위반했기 때문에 복당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김 의장의 복당이 이뤄지면 정당민주주의가 훼손되며 정치권의 불신만 깊어진다고 호소했다.
김동섭 의원은 김 의장 복당과 관련해 ‘원칙’과 ‘상식’을 지속적으로 거론했다. 박정현 의원은 박범계 위원장이 제시했던 김 의장이 반대했던 시의원들을 설득했던 과정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조원휘 의원은 중앙당에서 결정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고 전문학 의원은 답변하지 않았다.
박상숙 의원은 송대윤 원내대표가 김 의장의 복당 여부를 묻는 서류에 찬성 서명을 한 것으로 답변을 대신했다.
권중순 의원은 “김 의장이 정당지침과 민주적 절차에 따라 이뤄진 후반기 원구성 과정을 무시해서 일어난 일”이라며 “제명은 당헌당규에 의해 이뤄진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복당 이야기가 나오는 자체가 문제”라며 “정치가 제대로 되려면 원칙이 바로 서야 한다. 만약 복당이 이뤄지면 국민의 정치권에 대한 불신만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기현 의원도 비슷한 입장이다. 정 의원은 “좋은 정당, 좋은 의회를 위해서는 민주주의를 지키는 일이 우선”이라며 “김 의장 복당은 정당민주주의가 훼손되는 것으로 이뤄지면 안 된다”고 반대했다.
김동섭 의원은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 그리고 당이 돼야한다”며 “복당 관련해서는 할 말이 없다”고 했다. 다만 김 의장이 복당되면 이에 대한 의견을 밝히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박정현 의원은 “김 의장이 당시 사태에 대해 공식적으로 한번 그리고 의원실에 찾아와 사과를 했다”며 “그러나 이게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개인적 이익을 위해 기본적인 원칙이 어긋났다”고 피력했다.
이어 “김 의장이 복당을 위해서는 대전시의회 의장으로서 노력을 보여야 한다”며 “현재까지는 시의회 전문성 및 위상을 높이려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박상숙 의원만 김 의장 복당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박상숙 의원은 “송대윤 원내대표가 먼저 (김 의장) 복당 언급해서 찬성하는 서명을 했다”며 “우리당에서 같이 활동했던 분이기 때문에 동료의원으로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후반기 원구성 당시 각자의 생각 달랐다. 김 의장이 밀어붙인 것은 문제였다”며 “다만 당시 원구성에 각자 욕심을 냈던 부분도 있었다고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