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장 안전문 개폐 중단·무정차 통과 등
 |
▲ 전장연이 지난 20일 서울 지하철 시청역에서 장애인 이동권 포함 증액예산안 반영 등을 촉구하는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서울지하철 1~9호선을 운영 중인 서울교통공사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에 대한 지하철 진입 원천차단 등 강경 대응에 나선다.
◆ “무관용 원칙 적용”
공사는 “향후 전장연 시위를 원천 봉쇄해나가겠다”고 23일 밝혔다.
앞서 전장연은 지난 2021년 1월부터 장애인 이동권 보장 및 장애인 예산 확보 등을 주장하며 서울 지하철 내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지난 20일부터 이틀간 2호선 시청역에서 출근길 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에 공사는 지난 21일 오전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전장연 시위에 대해 서울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의 불편을 볼모로 한 불법 시위로 규정하고, 최고 수위의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해당 대책은 ▲역사 진입 차단 ▲진입시 승강장 안전문 개폐 중단 등 승차 제한 ▲모든 불법행위 엄정 대처 등 3단계 조치를 핵심 내용으로 한다.
먼저 지하철 모든 역사와 열차 내에서 집회·시위를 금지·제한하기 위한 시설보호를 경찰에 요청했다. 공사는 전장연이 지하철 지연을 목적으로 승차 시도시 경찰과 협력해 승차를 막는다는 계획이다. 그럼에도 시위를 중단하지 않으면 지하철 차량은 해당 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공사는 원활한 현장 대응을 위해 지하철보안관 전원을 투입하는 한편, 역 직원과 본사 직원 등 지원인력도 다수 투입할 방침이다. 또한 열차의 일부 출입문 앞을 가로막는 경우에는 해당 승강장 안전문의 개폐를 중단한다.
공사는 또 열차운행 방해를 포함해 철도안전법 등을 위반하는 모든 불법행위에 엄정 대응하기로 하고, 시위 시작부터 종료까지 동영상으로 채증한다는 계획이다.
공사는 전장연을 상대로 지금까지 5차례의 형사 고소 및 3차례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기했다.
공사에 따르면 전장연은 2021년부터 현재까지 총 471회 선전전을 진행했으며, 이 가운데 열차 운행방해 시위는 92회였다. 시위로 인한 열차 지연시간은 총 86시간33분, 공사가 입은 손실액은 약 7억8,000만 원에 달한다는 게 공사 측 주장이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이번 조치는 지하철에서 시위를 벌일 수 없도록 진입을 원천 차단한다는 점에서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강력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무관용 원칙으로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시위 등 무질서 행위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