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수목원, 전국 대부분 10월 하순경 절정 예측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올해 우리나라 주요 산림의 가을 단풍 절정을 예측한 지도(사진 위)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각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주요 산림 18개 지역과 권역별 국‧공립수목원 7개 지역이다.
올해 단풍 절정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일부 지역(제주도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10월 하순경으로 예상된다.
설악산 10월 23일 (±10일), 지리산 10월 20일(±6일), 한라산 11월 4일(±4일)이다.
전국 평균은 10월 26일로 작년 대비 전국 평균 3일가량 늦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단풍 예측은 산림청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보전 적응 사업에 참여하는 국‧공립수목원 10개 기관에 의해 2009년부터 해당 지역별로 현장에서 직접 관측된 자료를 기반으로 딥러닝 방식을 적용해 예측했다.
한편, 현장 관측이 시작된 2009년부터 우리나라 산림의 단풍절정시기는 연평균 0.4일씩 늦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식물의 단풍시기는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관측 자료에 의하면 여름 기온이 1도 올라갈 때마나 1.5일씩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정수종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는 “식물에 단풍이 드는 시기가 늦어지는 것은 분명한 기후변화 시그널로써 이는 기후변화가 식생의 생장리듬을 바꾸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임을 의미한다”며, “온대 산림의 식생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낮추는 중요한 흡수원이기에 식생의 생장시기가 변하는 것은 탄소순환의 변화가 생긴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단풍 시기의 변화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했다.
국‧공립수목원의 산림식물계절 현장 관측을 주도하고 있는 손성원 국립수목원 연구사는 “식물학적 이해도가 높은 국‧공립수목원에서 직접 관측된 식물계절 현상 자료는 그 신뢰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단풍 및 개화 예측지도를 매년 발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