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9월 창원에서 열린 공동대응기구 출범식 모습. (사진=고양시 제공) |
5일 고양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포럼은 경기도의원과 고양시의원을 비롯해 대학교수, 주민자치회 등 시민단체들이 참여해 2개 분과로 나눠 고양시 자치분권 활성화 방안과 특례시 지정 추진 방안을 주제로 토론을 이어갔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인구 104만 이상 대도시인 고양시가 그 규모와 상관없이 획일적인 틀에 갇혀 기초자치단체로 구분되어 재정부분에 역차별을 받고 있다”며 “지금은 3만5천명 규모의 기초단체와 104만 명 규모의 기초단체가 똑같은 옷을 입고 있는 셈이니 고양시는 더 큰 옷으로 바꿔 달라는 것과 도와 상생하는 범위 내에서 재정 독립성을 대폭 확대 해달라는 것이 특례시 지정 요구의 골자”라고 설명했다.
현재 고양시는 도세 징수금 약 4천억 원 중 절반 정도인 2천1백억 원을 교부금으로 받고 있지만 특례시가 된다면 더 많은 재정 자율권을 갖춰 시민들에게 양질의 행정·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고양시 자치분권협의회 관계자는 “고양시는 광역시에 버금가는 인구로 행정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데도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아 적절한 서비스를 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특례시가 된다면 행정, 재정자율권이 확대돼 시민 복지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는 등 혜택을 더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례시 지정에 기대감을 보였다.
한편, 고양시를 비롯한 수원·용인·창원 인구 100만 명 이상의 4개 대도시는 지난 달 시장과 시의회 의장,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특례시 지정을 위한 공동대응기구를 구성, 적극적인 활동과 홍보로 ‘대도시 특례시’ 지정을 촉구하는 출범식을 가졌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