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매출 급감…20대 비정규직 직격탄
 |
▲ 지난해 시작된 코로나19 확산으로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가 강화되면서 극장 경영의 어려움이 가중된 가운데, 대형 영화관 3사의 경우 직원 절반 이상을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작년 12월 서울 강남구 소재 한 극장 내부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국내 코로나19 확산 이후 이른바 ‘극장 보릿고개’가 2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 강화로 오랜기간 업계 어려움이 가중된 가운데, 대형 영화관 3사에서도 직원 절반이상을 줄이는 등 경영 악화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 코로나 발생 이후 누적적자 2.4조
1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이채익(국민의힘) 의원이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영화관 3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영화관 고용 인력 수는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54.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영화관 3사의 지난 2019년 말 기준 직원은 1만2,082명이었으나 올해 8월 현재 5,549명에 그쳤다. 지난해 시작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영악화가 결국 인력 구조조정이라는 결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특히 20대이면서 비정규직 직원들이 일자리를 많이 잃은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 형태별 분석 결과, 정규직 직원은 23.6% 감소한 반면, 비정규직 직원은 63.7% 급감했다. 연령별론 20대 직원이 9,509명에서 3,466명으로 63.6% 준 데 이어 60대 직원도 210명에서 103명으로 5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8월 말 기준 영화관 3사의 입장권 및 매점의 매출액에서도 2019년에 비해 77.2% 급감한 2,945억 원에 불과했다. 전년 동기 매출액 3,844억 원 대비 23.4% 감소하는 등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영화관 3사는 작년부터 올해 8월 말까지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대비 약 2조3,822억 원의 누적 손실이 발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선 날로 심화되는 경영 악화로 방역지침 완화 및 정부의 직접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영화관은 거리두기 모든 단계에서 음식물 섭취가 금지된 가운데 4단계에선 밤 10시 이후 영업이 금지된다.
하지만 업계는 이런 방역 규제가 과도하다는 일관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확진자가 영화관을 방문한 사례는 있었으나, 아직 영화관으로부터 감염이 확산된 사례는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업계는 단계별로 음식물 취식을 일부 허용하거나 4단계가 적용될 경우 마지막 영화시간을 밤 10시로 완화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티켓가격의 3% 징수되는 영화발전기금으로 임대료나 인건비, 관리비 등 고정비용의 일부를 지원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이들 영화관 3사가 대기업군에 속한다는 판단에 따라 적극적인 지원에 소극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의원은 “단순히 영화관이 대기업이라고 코로나 피해를 지원하지 않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영화업계 피해가 청년 일자리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고용안정 차원에서라도 각종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