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중앙은행이 CBDC 발행에 나설 경우 상업은행의 요구불예금을 대체해 유동성 위기를 초래해 금융안정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사진=세계로컬타임즈 DB)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선 기자] 중앙은행이 개인거래용 디지털화폐(CBDC) 발행에 나설 경우 금융안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7일 한은 BOK경제연구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발행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김영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권오익 금융통화연구실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중앙은행이 일반 개인 계좌 개설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발행한 CBDC는 시중은행의 요구불예금을 대체해 금융안정을 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BDC가 현금과 동일한 법정통화로 상업은행의 요구불예금과 완전대체제 관계라는 가정 하에 모형을 설정해 도출한 결과다. 단 모형에서는 기관간 거래에서 주로 고려되는 가상통화(암호화폐)와 같은 블록체인형 방식을 제외하고 개인간 거래에서 이용되는 계좌형 방식만 고려했다.
이에 따르면 중앙은행이 CBDC를 발행할 경우 시중은행의 예금을 CBDC로 교환하려는 수요가 증가한다. 시중은행의 요구불예금이 유출돼 신용공급이 축소되면 대출금리가 상승하고 상업은행의 지급준비율은 감소한다. 결국 상업은행의 유동성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커진다는 예상이다.
최저지급준비율을 도입해 예금 인출이 수월해져도 예금수취 경쟁으로 인해 금리가 오를 경우 역시 금융안정을 해치게 된다.
다만 중앙은행이 상업은행에 CBDC로 인해 인출된 요구불예금만큼 대출을 해줄 경우 상업은행의 신용공급이 축소되지 않아 금융안정이 개선될 수 있다.
한은 관계자는 “정기적금과 같은 저축성예금까지 고려한다면 예금유출 수준이 더 높아져 금융안정 저해 수준은 더 심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중앙은행은 개인계좌 개설 허용 방식의 CBDC 발행에 신중해야 한다”며 “발행하더라도 CBDC가 상업은행의 요구불예금을 대체하면서 금융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완책을 함께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