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산업은행은 벤처 투자를 통해 제조업 지원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산업은행은 한국 경제의 근간인 제조업 부문 지원을 스타트업 등 벤처 투자를 활성화해 강화해나간다는 기존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4일 산업은행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차원에서 올해 상반기부터 제조업 스타트업과 분사창업기업 발굴에 힘써 왔으며, 하반기에도 이 같은 투자 기조를 이어갈 방침이다.
산업은행은 근원적인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고부가가치 미래신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판단, 수소에너지와 차세대 모빌리티, 5G기반 스마트팩토리 구축사업 등을 핵심육성산업으로 선정해 스타트업 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산업은행 관계자는 “이들 산업은 기술 사이클이 길고 회수에 오랜 시간이 소요돼 일반 VC(벤처 캐피탈)들이 투자를 회피하는 분야”라면서도 “국책은행으로서 차별화된 VC의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생각으로 해당 분야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개별 스타트업이 해당 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참여도 등을 고려해 산업 전반의 부가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묶음투자 방식으로 집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은 수소에너지 4개사 총 60억 원의 투자승인을 완료한 데 이어 차세대 모빌리티 4개사 90억 원에 대한 투자검토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 하반기에는 5G-스마트팩토리 투자도 진행된다.
또한 기술혁신에 유리한 기반을 가진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연계성장을 지원해 제조업 기술혁신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분사창업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한다. 분사창업기업이란 대기업‧중소‧중견기업의 사업부문 또는 사내벤처가 독립해 설립된 기업을 말한다.
산업은행은 올해 분사창업기업 2개사, 50억 원의 투자를 집행했으며, 2개사 40억 원의 투자도 검토하고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