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1일 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혁신금융 비전선포식’ 행사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혁신금융에 대한 의견을 밝히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유영재 기자] ‘혁신금융’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에 향후 3년간 100조원의 자금이 공급된다. 이를 통해 바이오·4차산업 분야 80개 기업의 상장이 추진되고, 정책금융을 활용해 17만명의 고용 창출도 지원된다.
금융위원회는 21일 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 주재 ‘혁신금융 비전선포식’ 행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혁신금융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혁신금융 추진방향’은 그동안 현장방문을 통해 수렴한 스타트업, 벤처기업, 주력산업 기업 등의 의견을 바탕으로 마련됐다.
정부는 ‘혁신금융 추진방향’을 통해 금융의 패러다임을 ‘가계금융‧부동산담보’ 중심에서 ‘미래성장성‧자본시장’ 중심으로 전환해 위험을 공유하고 혁신성장을 이끄는 금융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대출, 자본시장, 정책자금 분야별로 맞춤형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기업여신심사 시스템 개편을 통해 앞으로 3년간 혁신 중소‧중견기업에 100조원의 자금을 공급한다. 기업이 부동산뿐만 아니라 특허권·생산설비·재고자산 등을 모두 담보로 해 대출할 수 있는 일괄담보제도가 도입되고, 과거 재무성과 중심의 여신심사에서 벗어나 혁신기업의 기술력과 미래 성장성을 토대로 대출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모험자본을 육성하고 향후 3년간 바이오‧4차 산업 분야 80개 기업의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코스닥 상장 문턱을 美 나스닥 수준으로 낮추고 성장지원펀드 등을 통한 스케일업 지원 규모를 현행 8조원에서 15조원으로 대폭 늘린다. 업종별 맞춤형 상장기준을 마련하고,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어지는 ‘혁신기업의 성장사다리’를 확대한다.
또한 정책자금 공급 확대를 통해 7만개 주력산업‧서비스기업 사업재편을 지원하고 17만명의 고용창출을 이끌어 낼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혁신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금융도 혁신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며 “기술혁신을 선도하고 위험을 분산‧공유하는 금융시스템을 구축해 기업의 도전을 응원하고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가 금융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