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황 악화 원인 “한일 이슈-신종 코로나”
![]() |
▲ 제주항공 이석주 사장은 최근 업황 악화에 대비해 전사적인 위기경영 체제 돌입을 선언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제주항공이 비상경영을 넘어 위기경영 체제에 돌입한다.
12일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이사(사장)은 이날 사내메일을 통해 “항공산업은 수익성 저하 차원을 넘어 생존을 염려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위기 국면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위기 대응을 위해 경영진이 먼저 임금의 30% 이상을 반납할 것”이라고 밝혔다.
◆ 무급휴가제, 승무원→전 직원 확대
이 사장은 업황 악화의 원인에 대해 지난해부터 항공업계가 처한 공급 과잉 상황과 한일관계 이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등을 지목, 현재 여행 수요가 위축된 결과를 낳은 것으로 분석했다.
이 사장은 “제주항공 인사원칙인 고용안정성은 유지한다”면서도 “이번 위기 돌파를 위해 기존 승무원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무급휴가제도를 전 직원으로 확대한다”고 임직원 협조를 구했다.
제주항공 측은 지난해부터 추진한 수익성 제고, 기단규모의 조절, 투자 우선순위 재설정 등을 넘어선 그 이상의 대응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라 판단했다. 따라서 위기경영체제 돌입을 통해 자구책을 마련하는 등 현 위기상황을 극복해나가겠다는 각오다.
다만,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에 대한 인수합병(M&A) 건은 기존 계획대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앞서 제주항공은 지난해 12월 말 체결 예정이던 이스타항공 주식매매계약(SPA)을 1월 말로 미룬 상태서 최근 2월 중 체결로 한 차례 더 연기한 바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이달 중 이스타항공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한다는 기존 계획은 변함없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조3,840억 원에 영업손실 329억 원, 당기순손실 341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