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백종우 동대문구정신건강복지센터장. |
이 때 필요한 것은 치료가 아니라 대책이며 주로 재난 정신건강 서비스라는 이름으로 표현된다. 트라우마로 인한 개인과 사회의 반응은 정상적 반응으로 봐야 한다. 초반에 전문가가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이런 반응이 병이 아니라 비정상적 상황에 대한 정상 반응이라고 이야기해 주는 것이다. ‘당신은 앞으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것은 정상 반응을 병리화할 수 있어 고통스러운 분들께 초기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사고 직후는 심리적 응급처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전문가도 옆에서 함께 있어 주고 기다려 주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충분히 슬퍼하고 애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초반에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강점을 인정해 주며 주변의 지지 체계에 연결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고 후 1~2개월이 지나서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진단 가능한 수준으로 지속되면 그때부터 전문적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또 2차적 외상이라고 해 재난에 관한 언론보도를 접한 국민들도 영향을 받는다.
생존자와 유가족을 돕기 위해서는 어떠한 말을 하는 것보다 경청하고 슬픔을 함께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생존자나 유가족이 하면 좋은 말이지만 도우려는 분이 하면 안 되는 말들도 있다. ‘그래도 산 사람은 살아야 하지 않냐?’가 대표적인데 극도의 고통을 겪는 분들께 아픔만 줄 수 있다. 그래서 도우려는 사람은 먼저 심리적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그리고 자원봉사자는 물론 전문가도 자신의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 때로 재난 현장의 고통은 전문가도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라서 이들에 대한 체계적 관리도 중요하다. 올해 개발된 재난 정신건강 가이드라인의 체계적 관리 부분을 사후 대책에 참고할 것을 권한다.
소방관과 같은 구조 인력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해외에서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유병율이 40%에 이른다는 보고가 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소방관의 사망은 순직보다 자살이 더 높다. 국민의 생명을 살리는 분들의 건강에 보다 깊은 국민적 관심과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슬픔을 나누며 의미를 찾고 공동체를 회복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씨랜드 참사로 아이를 잃은 부모님들이 어린이 안전재단을 만들고 안전문화를 만들기 위해 애쓰고 있다. 성숙한 대처의 좋은 예라고 생각한다. 절대 없어야 할 사고로 인한 누군가의 희생이 잊히지 않고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더 안전해지고 나아진다는 의미를 현실화시키는 것은 무엇보다 가장 치유적인 트라우마 대책일 것이다.
개인의 치유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모든 트라우마 치료법은 노출이 기본이 된다. 트라우마는 너무 괴로운 기억이라 기억의 깨진 조각이 파편화돼 돌아다니며 마음에 더 상처를 준다. 미국에서는 참전 군인을 위해 전문가가 있는 안전한 환경에서 본인이 직접 격은 전투 장면을 VR로 만들어 함께 보는 치료도 활용한다. 전문가와 함께 안전이 확보된 환경에서 단계적으로 노출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통해 트라우마는 충분히 극복될 수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