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명국 위원장(국민의힘, 동구3)은 대전육교 관광자원화 사업의 예산이 추경에 편성됐음에도 단 한 건도 집행되지 않은 것에 대해, “금액의 문제가 아니라 행정 절차의 문제”임을 지적하며 “대전육교는 1969년에 건립된 상징적 시설로 시민이 오랫동안 기다려온 사업인 만큼, 사전 검토와 절차를 명확히 해 실질적인 결과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화관광해설사 제도와 관련해서는 해설사의 근무태도 문제와 근무여건 개선을 요구했다. 또 유교전통의례관의 낮은 운영 효율성을 지적하며 유지관리비 절감과 공간 활용도 제고를 위한 실질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학생 문화예술 관람 지원사업의 집행률이 40%에도 미치지 못한 점을 들어 “사업 취지는 좋았지만 추진 과정에서 협업 부재로 학생들이 피해를 봤다”며, “대전시 여건에 맞는 새로운 방식으로 2~3년 내 사업을 재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병철 부위원장(국민의힘, 서구4)은 대전전시티투어가 정형화된 코스에 머물러 있다며, “빵집 투어만 봐도 당일치기 관광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하고 숙박·체험이 결합된 체류형 관광으로의 전환을 요청했다. 또한 시립연정국악원의 정기회원 초대권 제공이 법적 근거 없이 이뤄졌다며 운영의 투명성을 요구하고, 채용 심사위원 제척 규정 미비에 대한 조속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이밖에도 꿈씨버스(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이용 불편과 차량 부족 문제를 언급하며 “시범사업으로 그치지 말고 관광형 모빌리티 혁신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홍보대사 제도가 가수·배우 중심으로 편중돼 있다며 “과학도시 대전의 특성을 살린 실질적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중호 의원(국민의힘, 서구5)은 대전미술대전의 운영 주체 변경에 주목하며 “작년에는 민간보조사업이었는데 올해는 문화재단이 주최로 바뀌었다”며, “운영 방식 변화에 따른 성과와 문제점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엑스포시민광장 아트센터가 미술 전시 공간으로 적합한지 검토해야 한다”며, “시가 계속 주관하기보다 예술인 중심의 자율운영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한밭대전에 대해 “매년 행사 성격이 달라 정체성이 불분명하다”며, “대표 분야를 중심으로 일관성 있는 운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경자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대전예술의전당 조례 개정 후속 조치 추진이 미흡하다며 “교통과 안전 문제를 고려해 아이들 눈높이에 맞춘 공연 기획과 이동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특정감사에서 5~6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음에도 행정상 처분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공직자의 책임성과 행정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축제 분류체계의 일관성 부족을 지적하고, “효문화축제는 대전을 대표할 축제인 만큼 예산과 지원을 강화해 명품축제로 육성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캠핑데이즈 사업의 정산 문제와 예산 집행률 저조를 언급하며 “감사 중인 사업에 예산을 다시 지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또“시정홍보가 축제 중심에 머물러 있다”며 정책·산업·비전이 담긴 다각적 홍보와 과학도시·청년도시 이미지 강화를 당부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오정희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